폐업 늘어나는 커피 공화국"대한민국"… 해외브랜드 상륙은 이어지고 있다
‘405잔 대 152잔’
지난해 한국인이 1년 동안 마신 커피 소비량과 전 세계 평균 소비량의 차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조사한 국내 커피 시장 규모는 지난해 3조 4713억원으로 전년(3조 1717억원)보다 9.5% 커졌다.
4일 커피업계에 따르면 패션 브랜드 랄프로렌이 운영하는 ‘랄프스 커피’가 5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에 첫 매장을 연다. 다음달 중순엔 노르웨이 커피 브랜드 ‘푸글렌’이 서울 마포구에 1호점을 낼 계획이다. 지난달엔 롯데백화점이 프랜차이즈·유통권을 확보한 ‘바샤커피’의 플래그십 스토어가 강남구 청담동에 문을 열었다.
이미 진출한 해외 브랜드도 시장을 확대 중이다. 캐나다 브랜드 ‘팀홀튼’은 이날 국내 13호점인 서울 중구 서울시청점을 열었다. 블루보틀커피코리아는 14번째 매장이자 부산 지역 첫 매장의 개점을 앞두고 있다.
시장성을 보고 커피 브랜드들이 한국을 찾고 있지만 폐업하는 커피점 수도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시 상권분석 서비스에 따르면 서울의 커피·음료 점포 폐업률은 2분기 기준 2022년 2.8%, 지난해 4.2%, 올해 4.3%로 늘어나고 있다.
폐업하는 커피점 수가 늘어나는 것은 우선 커피 시장이 포화 상태이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커피전문점 수는 2022년 말 기준 10만 729개로 전년(9만 6437개)보다 4.5% 늘었다. 2016년(5만 1551개)과 비교하면 6년 만에 2배 이상 커져 있다.
무엇보다 노동집약적인 커피업태의 한계 때문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통계청이 지난해 말 내놓은 ‘2022년 프랜차이즈(가맹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커피전문점 종사자 1인당 매출액은 연간 5010만원이다. 편의점(1억 3370만원), 치킨(1억 1840만원), 제과점(1억 100만원) 등 주요 업종 중 가장 낮다. 최근 로봇을 도입한 카페도 있지만 커피는 사람이 만드는 게 기본이다. 인건비와 국제 원두 가격 상승 추세가 고수익을 내기 어려운 이유다.
그러다 보니 박리다매로 파는 저가 커피가 아니면 비싼 값을 받는 커피점으로 시장이 양분되고 있다.
한 커피업계 관계자는 “국내 커피 시장이 성숙기에 이르면서 시장이 나뉘는 것”이라며 “브랜드 개성이 강한 스페셜티(고급 커피 품종) 시장은 여전히 성장 잠재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유명 해외 브랜드의 한국 상륙은 이어지고 있다. 한국이 아시아의 ‘트렌트 세터’ 역할을 하면서 한국 시장의 성과가 다른 아시아 시장 진출에 참고가 된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블루보틀은 2015년 일본과 2019년 한국 진출 이후 중국, 홍콩에 매장을 냈다. 미국 인텔리젠시아도 첫 해외 진출국으로 한국을 택했다.
다만 이들이 성공하려면 철저한 현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례로 에스프레소나 드립커피가 주력인 커피 브랜드들이 아메리카노 선호가 압도적인 국내 문화와 맞지 않게 현지 매장 형태를 그대로 이식하면 성공하기 힘들 수 있다. 조원진 커피 칼럼니스트는 “브랜드가 사랑받은 여러 가지 맥락을 국내 소비자들에게 알리지 못한다면 해외에서 인기 있었다는 이유로 성공하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문화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커피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