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칼럼]다문화 중도입국 학생을 위한 사회적 관심

김영근 기자 | 기사입력 2021/01/04 [11:46]

[칼럼]다문화 중도입국 학생을 위한 사회적 관심

김영근 기자 | 입력 : 2021/01/04 [11:46]

 

▲ 세종사이버대학교 군경상담학과 김원호 겸임교수     ©

 

[문화매일=김영근 기자]대한민국은 해외에 북극곰 살리기, 우물 파주기 지원사업으로 2조 원 정도를 써왔다. 기업은 사회를 위해 일하고, 사회는 기업의 존재가치를 인정해 교육이나 장애인 등을 위해 바람직한 기부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중도입국 자녀는 외국에서 살다 부 또는 모가 한국인과 재혼하거나 귀화해 한국에 함께 온 외국 국적의 자녀들로 2018년 6월 현재 약 9,800여 명이 있다. 중도입국 자녀는 대부분 국내학교에 다니는데, 졸업 후 취업하려면 한국 국적이나 취업 비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국가자격증을 취득하는 등 취업 요건을 갖춰도 바로 취업할 수가 없는 실정이다.

 

중도입국 자녀가 기술 관련 자격증과 이중언어 능력(한국어+본국 언어) 등을 갖추고 귀화시험에 통과해도 국적 허가 결정까지 심사 기간이 1년 6개월 이상 소요된다. 

 

중도입국 다문화 학생들에 대한 제도적 허점으로 1년 이상 시간을 낭비해야 한다. 이로 인해 한국에 대한 나쁜 이미지를 갖고 범죄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고, 우리 사회는 다문화 학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김다혜(가명)학생은 중도입국 한 학생으로 친구들에 의해 괴롭힘에 시달리다가 서울 다솜관광고등학교(다문화 학생으로 구성된 대안학교)에 와서 적응하고, 외국인 전형으로 서울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해서 자신의 꿈을 찾고 있다. 취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다솜고등학교 학생들 설문 조사에 의하면 90% 이상이 대학진학을 희망하고 있다. 

 

지방대학은 외국인 학생들이 없으면 학생 수를 채울 방도가 없다. 대학이 문을 닫게 되면 그 지역의 경제는 한순간에 무너진다. 정부와 지방대학이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전형을 확대하여 이중언어가 가능한 이들을 인재로 양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제 정부와 기업도 해외 지원 외에 다문화 학생을 위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문화 용어도 공존문화, 상호문화, 등으로 바꾸고 서로가 필요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 세종사이버대학교 군경상담학과 김원호 겸임교수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